[기타] 고속철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7:48
본문
Download : ●고속철도.hwp
그러나 시제차량 HSR-350x를 이용한 장기간의 시험운행 결과 전력 효율이나 소음, 신뢰성 측면에서 IGCT는 그다지 메리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파워일렉트로닉스의 발달로 인해 IGBT를 이용한 대 전력의 제어가 용이해지면서 양산형 차량인 KTX-2는 IGBT를 이용한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용하게 되었다.
모든 좌석이 회전 가능한 형태로 변경되었으며, 형태와 재질도 개량
특실용 좌석의 경우 자동 리클라이닝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최대 리클라이닝 각도는 기존 39도에서 43도로 향상
●KTX와 차이점
●KTX와 차이점
●KTX-2
●고속철도(KTX)의 시대
●고속철도(KTX)의 산업적 效果
간접조명을 채용해 개방감이 향상
순서
●고속철도(KTX)의 특징
●고속철도(KTX)의 경제적效果
●고속철도(KTX)의 사회/문화적 效果
●KTX-2 성능





코레일
설명
●고속철도(KTX)의 definition
1. 승객편의
●KTX-2 성능
[기타] 고속철도
창유리가 기존 29mm(3겹)에서 38mm(4겹)로 두꺼워져 소음 차단效果와 안전성이 향상
고속철도에 관하여 기술 [참고자료(資料)] 인터넷(Internet)뉴스
네이버블로그
고속철도에 관하여 기술 [참고자료] 인터넷뉴스 코레일 네이버블로그
다.레포트 > 기타
Download : ●고속철도.hwp( 53 )
기존 차량이 20량(L-M-16T-M-L)방식인데 비해 10량(L-8T-L)방식으로 편성이 절반 정도로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에는 큰 차이가 없다(13,560kW→8,800kW). 특히 양쪽 선두부에 전공일체 자동연결 장치를 적용해 수요에 따른 탄력적 운용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전라선, 경전선 등에서의 탄력적 운용도 고려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10량 단편성화와 자동병결 운용
1. IGBT로의 변경
●고속철도(KTX)의 통합정보시스템
고속철도, KTX, KTX-2
일반실의 좌석간 거리(시트피치)가 기존 930㎜에서 980㎜로 50㎜가량 늘어나 쾌적성이 향상
차기고속철 차량의 concept(개념)설계가 행해지고 있었던 1996년 당시에는 IGBT로 출력이 1100kW에 달하는 주 전동기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웠기 때문에, 전력제어소자로는 대전력 제어가 가능한 GTO계 소자 중 가장 효율이 높은 IGCT를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