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Good Governance를 위한 지방의회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5:32
본문
Download : GoodGovernance를위한지방.hwp
Ⅳ. Good Governance를 위한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강화plan
2. 주민참여제도의 신장과 지방의회의 역할
설명
3. 압력단체의 활동에 대한 지방의회의 역할
특히 주민참여제도의 신장과 관련해서는 압력단체의 활동이 순기능적일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 그러나 이들 단체가 특수이익 또는 정치권력과 야합함으로써 공익을 해치는 경우, 그리고 자신들이 추구하는 특수한 이익을 실현시키려는 과정에서 주민전체의 보편적 이익과 충돌을 빚을 경우에는 주민의 대표자로서의 지방의회는 적극적으로 이에 개입하여 주민전체의 공익을 수호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역간의 갈등을 조정․통합하고, 무엇보다 이를 위한 주민의견 수렴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Ⅱ. 거버넌스(Governance)의 개념과 의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Ⅴ. 요약 및 결어
1. 지방분권시대와 Good Governance의 의의
Good Governance를 위한 지방의회의 역할
순서
Download : GoodGovernance를위한지방.hwp( 24 )
거버넌스 지방분권시대와 Good Governance 주민참여제도의신장과 지방의회의역할
지방의회가 Good Governance적 네트워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담당하려면 주민참여제도의 신장과 관련한 역할과 지방행정에 대한 압력단체의 활동과 관련한 역할에서, 그리고 불특정다수의 의견에 대한 대처plan 등에서 우선 주민의 참여와 책임의식을 최대한 제고하여야 한다.
2. 주민의견 수렴제도의 상시운영
또한 불특정다수의 의견과 관련해서는 지역이기주의의 발생이 주민들의 과도한 이기심으로 발단되기는 하나, 근본적으로는 정치와 행정에 대한 불신과 상호 의사전달체계의 부재가 더 큰 원인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쟁점이 되고 있는 현안에 대해 지방의회차원의 공청회와 토론회를 수시로 개최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야 한다.





Ⅲ. 지방분권시대와 Good Governance적 지방의회의 역할
4. 불특정다수의 의견과 지방의회의 대처plan
1. 지방의회의 의정활동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강화
거버넌스 지방분권시대와 Good Governance 주민참여제도의신장과 지방의회의역할 / (거버넌스)
Good Governance란 20세기 말 이후부터 대두되고 있는 신행정국가 시대를 맞아 그동안 하향식 방법에 의해 운영되는 관료제 형태의 조직 외에 시장과 시 민 사회 공동체를 연결망(network)으로 하는 조합방식을 통해 공공문제를 해결하려는 이른바 신(新) 거버넌스(new governance)의 또 다른 명명(命名)이라고 볼 수 있다
거버넌스 지방분권시대와 Good Governance 주민참여제도의신장과 지방의회의역할 / (거버넌스)
Ⅰ. 서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