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의 성학집요를 읽고나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21:46
본문
Download : 성학집요.hwp
성리학의 기본 명제인 ‘성즉리는 인간의 존재 원리가 바로 우주의 존재원리라는 의미이다. 반면에 그 이에 따라서 내용을 채우는 것을 ‘기라고 한다.
율곡이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을 어떠한 관계로 보았는지 생각해보았으며 율u의 기발일도설로 인간의 행위를 설명할 때의 장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율곡이 퇴계의 이발의 의미를 부정한 근거에 대해서 조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전자의 입장이 주로 퇴계의 입장과 유사하다면 후자는 율곡의 입장에 가깝다. 반면에 율곡은 이와 기가 함께 한다는 것을 강조하여 본연지성은 기질지성에 포함되는 것이지, 따로 본연지성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 이이의 성학집요를 읽고나서인문사회레포트 , 성학집요 이이 성리학 한국사 철학 독후감 레포트 본연지성 기질지성 사단 칠정
다. 즉 현실적인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성은 기질지성이라고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임금 스스로 먼저 도덕적 수양을 하고 나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성학집요’에서 성학이란 유학이며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이란 뜻으로 주로 임금의 백성을 올바르게 인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율곡의 학문적 가능성을 보고 퇴계는 그의 문인에게 ‘후배는 두려워 할 만하다’라고 하였다. 율곡은 ‘이기가 분리되지 않고 묘하게 함께 있음과 ‘존재원리인 이는 모두 같고 그것을 채우는 내용으로 기는 서로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다. 23세 때는 당시 58세의 대학자인 퇴계를 찾아가 이틀 동안 학문적 토론을 벌였다. 그는 어린 나이에 어머니를 잃고, 그 슬픔으로 3년 상을 마치고 금강산에 입산하였다가 일 년 반 만에 다시 하산하여 성리학에 전력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의 존재원리인 성은 순전히 이만을 가리켜 말할 때는 본연지성이고 기와 함께 말할 때는 기질지성이라고 한다. 37세 때는 퇴계의 학문적 전통을 이어받은 우계 성혼과 이기설과 사단칠정에 대한 논변을 벌였다. 이렇게 보면 이와 기는 어느 정도 분리가 가능하다가 볼 수 있따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사물에서 그 존재원리와 그것을 채우고 있는 내용이 분리될 수는 없다. 우주가 어떠헥 발생하였느냐고 묻는다면 궁극적인 Cause 으로 이가 있은 연후에 기가 있다고 할 것이다.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2. 내용
3. 인식
성리학에서는 우주의 궁극적 Cause 과 사물의 존재원리를 ‘이라고 한다. 그러나 성학은 반드시 임금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 지침이다. 즉 이와 기의 분리 가능성을 생각할 수 없다. 이것은 퇴계학파에 대하여 율곡학파가 하나의 대칭점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퇴계는 앞에서 이미 말한 바와같이 이와 기가 분리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분리를 주장한다. 그러나 완전한 분리나 완전한 일치는 있을 수 없다.
성학집요
이이 지음
1. 시대적 상황과 개요
율곡 이이는 조선 중기에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었던 성리학자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유학의 근본 명제로 이미 ‘대학’이란 책에서 잘 밝히고 있따 율곡은 ‘대학’에서 나타난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이념과 체계를 자기의 독특한 理論(이론)과 옛 성현의 글을 인용하여 책으로 저술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성학집요’이다. 그의 어머니가 바로 한국 어머니상이 표준적 모델이 된 신사임당이다.
2. 내용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1편은 ‘통설’로 유학의 일반에 관한 것이다. 2편은 ‘수기’로서 자기 자신을 수양하는 방법을 모두 13세목으로 나누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데, 그의 전체 철학 체계가 잘 압축되어 있따 3편은 ‘정가’로 가정을 바르게 하는 것, 4편은 ‘위정’으로 나라를 잘 다스리는 방법, 5편은 ‘성현도통’으로 옛 성인들의 계보가 기록되어 있따 2편에서 말하는 ‘자기 스스로를 다스린다’는 것은 인간으로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육체적 욕구의 의미인 기질을 …(drop)
Download : 성학집요.hwp( 29 )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성학집요,이이,성리학,한국사,철학,독후감,레포트,본연지성,기질지성,사단,칠정,인문사회,레포트



이이의 성학집요를 읽고나서
율곡이 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단과 칠정을 어떠한 관계로 보았는지 생각해보았으며 율u의 기발일도설로 인간의 행위를 說明(설명) 할 때의 장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율곡이 퇴계의 이발의 의미를 부정한 근거에 관련되어 조사하여 작성하였습니다.